clamp
Clamp
clamp
글쓰기 관리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509)
    • IOS (85)
    • SwiftUI+TCA+Combine (9)
    • RxSwift + MVVM (56)
    • Clean Architecture (12)
    • SWIFT (56)
    • iOS - TDD (2)
    • 디자인패턴 (4)
    • CS (56)
      • 알고리즘 (29)
      • 운영체제 (15)
      • 자료구조 (2)
      • 네트워킹 (4)
      • 기타 (6)
    • 회고 (0)
    • Firebase (18)
    • SwiftUI (10)
    • iOS - UIKit (11)
    • iOS - 오픈소스 (6)
    • 코딩테스트 (166)
      • 프로그래머스 (164)
    • 정보처리기사 (14)
    • GitHub (2)
글쓰기 / 관리자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Q
  • uikit
  • ㅅ
  • Swift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clamp

Clamp

코딩테스트/프로그래머스

프로그래머스 - 주차 요금 계산[Swift]

2023. 2. 11. 10:35

문제 설명

주차장의 요금표와 차량이 들어오고(입차) 나간(출차) 기록이 주어졌을 때, 차량별로 주차 요금을 계산하려고 합니다. 아래는 하나의 예시를 나타냅니다.

  • 요금표

기본 시간(분)           기본 요금(원)         단위 시간(분)        단위 요금(원)

180 5000 10 600

 

  • 입/출차 기록

시각(시:분)       차량 번호        내역

05:34 5961 입차
06:00 0000 입차
06:34 0000 출차
07:59 5961 출차
07:59 0148 입차
18:59 0000 입차
19:09 0148 출차
22:59 5961 입차
23:00 5961 출차

 

  • 자동차별 주차 요금

차량 번호           누적 주차 시간(분)            주차 요금(원)

0000 34 + 300 = 334 5000 + ⌈(334 - 180) / 10⌉ x 600 = 14600
0148 670 5000 +⌈(670 - 180) / 10⌉x 600 = 34400
5961 145 + 1 = 146 5000
  • 어떤 차량이 입차된 후에 출차된 내역이 없다면, 23: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.
    • 0000번 차량은 18:59에 입차된 이후, 출차된 내역이 없습니다. 따라서, 23: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.
  • 00:00부터 23:59까지의 입/출차 내역을 바탕으로 차량별 누적 주차 시간을 계산하여 요금을 일괄로 정산합니다.
  • 누적 주차 시간이 기본 시간이하라면, 기본 요금을 청구합니다.
  • 누적 주차 시간이 기본 시간을 초과하면, 기본 요금에 더해서, 초과한 시간에 대해서 단위 시간 마다 단위 요금을 청구합니다.
    • 초과한 시간이 단위 시간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, 올림합니다.
    • ⌈a⌉ : a보다 작지 않은 최소의 정수를 의미합니다. 즉, 올림을 의미합니다.

주차 요금을 나타내는 정수 배열 fees, 자동차의 입/출차 내역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 recor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 차량 번호가 작은 자동차부터 청구할 주차 요금을 차례대로 정수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제한사항

  • fees의 길이 = 4
    • fees[0] = 기본 시간(분)
    • 1 ≤ fees[0] ≤ 1,439
    • fees[1] = 기본 요금(원)
    • 0 ≤ fees[1] ≤ 100,000
    • fees[2] = 단위 시간(분)
    • 1 ≤ fees[2] ≤ 1,439
    • fees[3] = 단위 요금(원)
    • 1 ≤ fees[3] ≤ 10,000
  • 1 ≤ records의 길이 ≤ 1,000
    • records의 각 원소는 "시각 차량번호 내역" 형식의 문자열입니다.
    • 시각, 차량번호, 내역은 하나의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.
    • 시각은 차량이 입차되거나 출차된 시각을 나타내며, HH:MM 형식의 길이 5인 문자열입니다.
      • HH:MM은 00:00부터 23:59까지 주어집니다.
      • 잘못된 시각("25:22", "09:65" 등)은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.
    • 차량번호는 자동차를 구분하기 위한, `0'~'9'로 구성된 길이 4인 문자열입니다.
    • 내역은 길이 2 또는 3인 문자열로, IN 또는 OUT입니다. IN은 입차를, OUT은 출차를 의미합니다.
    • records의 원소들은 시각을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주어집니다.
    • records는 하루 동안의 입/출차된 기록만 담고 있으며, 입차된 차량이 다음날 출차되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.
    • 같은 시각에, 같은 차량번호의 내역이 2번 이상 나타내지 않습니다.
    • 마지막 시각(23:59)에 입차되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.
    • 아래의 예를 포함하여, 잘못된 입력은 주어지지 않습니다.
      • 주차장에 없는 차량이 출차되는 경우
      • 주차장에 이미 있는 차량(차량번호가 같은 차량)이 다시 입차되는 경우

입출력 예

feesrecordsresult

[180, 5000, 10, 600] ["05:34 5961 IN", "06:00 0000 IN", "06:34 0000 OUT", "07:59 5961 OUT", "07:59 0148 IN", "18:59 0000 IN", "19:09 0148 OUT", "22:59 5961 IN", "23:00 5961 OUT"] [14600, 34400, 5000]
[120, 0, 60, 591] ["16:00 3961 IN","16:00 0202 IN","18:00 3961 OUT","18:00 0202 OUT","23:58 3961 IN"] [0, 591]
[1, 461, 1, 10] ["00:00 1234 IN"] [14841]

입출력 예 설명

입출력 예 #1

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
입출력 예 #2

  • 요금표

기본 시간(분)기본 요금(원)단위 시간(분)단위 요금(원)

120 0 60 591

 

  • 입/출차 기록

시각(시:분)차량 번호내역

16:00 3961 입차
16:00 0202 입차
18:00 3961 출차
18:00 0202 출차
23:58 3961 입차

 

  • 자동차별 주차 요금

차량 번호누적 주차 시간(분)주차 요금(원)

0202 120 0
3961 120 + 1 = 121 0 +⌈(121 - 120) / 60⌉x 591 = 591
  • 3961번 차량은 2번째 입차된 후에는 출차된 내역이 없으므로, 23:59에 출차되었다고 간주합니다.

 

입출력 예 #3

  • 요금표

기본 시간(분)기본 요금(원)단위 시간(분)단위 요금(원)

1 461 1 10

 

  • 입/출차 기록

시각(시:분)차량 번호내역

00:00 1234 입차

 

  • 자동차별 주차 요금

차량 번호누적 주차 시간(분)주차 요금(원)

1234 1439 461 +⌈(1439 - 1) / 1⌉x 10 = 14841
  • 1234번 차량은 출차 내역이 없으므로, 23:59에 출차되었다고 간주합니다.

풀이 및 소스코드

언제 풀어도 재밌는 카카오 구현문제

1. IN이면 indic(입차시각 딕셔너리)에 추가하고 만약 feedic(요금딕셔너리)에 없다면 추가해준다.

2. OUT이면 indic에 기록된 시각과 OUT시각을  모두 분으로 바꾸고, OUT - IN 해서 주차장 사용시각(분)을 구하고 입차 시각 리스트에서 삭제한다. 

3. 리스트를 모두 순회하고 indic에 남아있는 경우는 출차 기록이 없는 거기 때문에 출차 시각을 23:59으로 계산해서 feedic에 더해준다.

4. 기본 시간을 넘지 않는다면 기본 시간으로 feedic를 갱신해주고

5. 단위 시간이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면 올림을 해주고

6. 단위 시간 * 단위 요금 + 기본 요금 으로 feedic를 갱신해준다

 

import Foundation

//주차 시간이 기본시간 이하라면 기본요금
//아니라면 기본요금 + 단위시간마다 단위요금 청구
//초과 시간이 단위시간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올림
//차량 번호가 작은 순으로 요금을 return
func solution(_ fees:[Int], _ records:[String]) -> [Int] {
                //차량번호    시각
    var indic = [String: String]()
    var feedic = [String: Int]()


    for i in records{
        let time =  String(i.split(separator: " ")[0])
        let number = String(i.split(separator: " ")[1])
        let sortation = String(i.split(separator: " ")[2])
        
        //IN 이면 입차 시간 추가
        if sortation == "IN"{
            if !feedic.keys.contains(number){
                feedic[number] = 0
            }
            indic[number] = time
        }else{
            //Out이면 주차 시간계산하고 입차 리스트에서 삭제
            let outtime = time.split(separator: ":")
            let outh = String(outtime[0])
            let outm = String(outtime[1])
            
            let outchange = (Int(outh)! * 60) + Int(outm)!
            
            let intime = indic[number]!.split(separator: ":")
            let inh = String(intime[0])
            let inm = String(intime[1])
            
            let inchange = (Int(inh)! * 60) + Int(inm)!
            
            let gab = outchange - inchange
            feedic[number]! += gab
            indic.removeValue(forKey: number)
        }
    }
    //out 기록이 없어서 indic에 남아있는 경우 23: 59으로 계산
    for i in indic{
        let outchange = (23 * 60) + 59
        
        let intime = indic[i.key]!.split(separator: ":")
        let inh = String(intime[0])
        let inm = String(intime[1])
        let inchange = (Int(inh)! * 60) + Int(inm)!
        
        feedic[i.key]! += outchange - inchange
    }
    
    for fee in feedic{
        //기본시간 이하면 기본시간을 청구
        if fee.value <= fees[0]{
            feedic[fee.key]! = fees[1]
        }else{
            //초과한 시간이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면 올림
            let double = Double(fee.value - fees[0]) / Double(fees[2])
            let int = (fee.value - fees[0]) / fees[2]
            var time = 0
            
            if double > Double(int){
                time = int + 1
            }else{
                time = int
            }
            feedic[fee.key]! = fees[1] + (time * fees[3])
        }
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}
    
    var result = [Int]()
    //차량번호별 오름차순으로 정렬 후 결과에 추가
    for i in feedic.sorted(){ $0.key < $1.key }{
        result.append(i.value)
    }
    
    return result
}
저작자표시 비영리 동일조건 (새창열림)
    '코딩테스트/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프로그래머스 - 오픈채팅방[Swift]
    • 프로그래머스 - [3차] n진수 게임[Swift]
    • 프로그래머스 - 피로도[Swift](완전탐색)(dfs)
    • 프로그래머스 - [3차] 압축[Swift]
    clamp
    clamp
    주니어 iOS개발자의 발악!!!!!!!

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