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lamp
Clamp
clamp
글쓰기 관리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509)
    • IOS (85)
    • SwiftUI+TCA+Combine (9)
    • RxSwift + MVVM (56)
    • Clean Architecture (12)
    • SWIFT (56)
    • iOS - TDD (2)
    • 디자인패턴 (4)
    • CS (56)
      • 알고리즘 (29)
      • 운영체제 (15)
      • 자료구조 (2)
      • 네트워킹 (4)
      • 기타 (6)
    • 회고 (0)
    • Firebase (18)
    • SwiftUI (10)
    • iOS - UIKit (11)
    • iOS - 오픈소스 (6)
    • 코딩테스트 (166)
      • 프로그래머스 (164)
    • 정보처리기사 (14)
    • GitHub (2)
글쓰기 / 관리자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uikit
  • ㅅ
  • Q
  • Swift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clamp

Clamp

iOS. 동시성 프로그래밍 DeadLock, Race condition 해결방법
IOS

iOS. 동시성 프로그래밍 DeadLock, Race condition 해결방법

2023. 3. 15. 18:02

💥동시성 프로그래밍의 문제점

데드락(Dead Lock)과 경쟁조건(Race Condition)에 관한 이야기이다.

 

한 개의 자원에 여러개의 쓰레드가 접근하려고 한다 ==> RaceCondition

Racecondition이 발생해 여러가지 쓰레드에서 공유자원에 동시접근을 막기위해 걸어잠굴 수 있다. 각 쓰레드는 공유자원에 여러개의 동시접근을 막기위해 사용중인 동안 다른 쓰레드의 공유자원 접근을 막을 수 있다.

 

데드락은 아래에서 다루고 있다.

https://clamp-coding.tistory.com/72

 

운영체제(OS) - 식사하는 철학자 문제(Dining Philosophers Problem)

식사하는 철학자 문제 철학자 다섯이서 원형 식탁에 둘러앉아 생각에 빠지다가, 배고플 땐 밥을 먹는다. 그들의 양쪽엔 각각 젓가락 한 짝씩 놓여있고, 밥을 먹으려 할 땐 다음의 과정을 따른다.

clamp-coding.tistory.com

https://clamp-coding.tistory.com/86

 

운영체제(OS) - 데드락(Deadlock)

Deadlock - 어떤 프로세스 집단 내의 각 프로세스가 그 집단 내의 또 다른 프로세스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를 기다리고 있으면, 그 프로세스 집단은 deadlock상태에 있다. 이 그림처럼 차

clamp-coding.tistory.com


💥동시성(Concurrency)프로그래밍의 문제 해결 방법

❓ 배열(자원)에 동시, 비동기적으로 접근하는 경우 

var array = [String]()

for i in 1...20 {
    DispatchQueue.global().async {
        array.append("\(i)")    // 동시다발적으로 빈 배열의 메모리에 접근하여 1~20할당
    }
}

DispatchQueue.main.asyncAfter(deadline: .now() + 5) {  //비동기적으로 1번 쓰레드에서 5초 뒤에 실행하는 코드
    print(array)
}

/*출력 결과
 ["4", "5", "6", "7", "3", "1", "8", "14", "15", "16", "18", "19", "20", "9", "10", "11", "12", "13"]  
 */
 
 //2, 17이 없음

❗️배열(자원)에 직렬적으로 접근

var array = [String]()
let serialQueue = DispatchQueue(label: "serial")  //직렬 큐 생성

for i in 1...20 {
    DispatchQueue.global().async {
        serialQueue.async {  // 직렬 방식을 사용: 하나하나 차례차례 배열의 메모리에 접근
            array.append("\(i)")
        }
    }
}

DispatchQueue.main.asyncAfter(deadline: .now() + 5) {  //비동기적으로 1번 쓰레드에서 5초 뒤에 실행하는 코드
    print(array)
}

/*출력 결과
 ["1", "2", "3", "4", "5", "6", "7", "8", "9", "10", "11", "12", "13", "14", "15", "16", "17", "18", "19", "20"]

 // 모든 번호가 정상적으로 배열에 할당되었음을 확인
 */
저작자표시 비영리 동일조건 (새창열림)
    'I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iOS - Code UI(Auto Layout)
    • iOS - Network 연결 확인하기(Swift)
    • iOS. 디스패치큐(GCD) 사용시 주의해야할 사항
    • iOS. GCD의 개념과 Dispatch큐(Queue)종류? Qos
    clamp
    clamp
    주니어 iOS개발자의 발악!!!!!!!

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