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lamp
Clamp
clamp
글쓰기 관리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509)
    • IOS (85)
    • SwiftUI+TCA+Combine (9)
    • RxSwift + MVVM (56)
    • Clean Architecture (12)
    • SWIFT (56)
    • iOS - TDD (2)
    • 디자인패턴 (4)
    • CS (56)
      • 알고리즘 (29)
      • 운영체제 (15)
      • 자료구조 (2)
      • 네트워킹 (4)
      • 기타 (6)
    • 회고 (0)
    • Firebase (18)
    • SwiftUI (10)
    • iOS - UIKit (11)
    • iOS - 오픈소스 (6)
    • 코딩테스트 (166)
      • 프로그래머스 (164)
    • 정보처리기사 (14)
    • GitHub (2)
글쓰기 / 관리자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ㅅ
  • Swift
  • Q
  • uikit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clamp

Clamp

Clean Architecture

[Clean Architecture] SOLID원칙 04. LSP(Liscov Substitution Principle) 리스코프 치환 원칙

2023. 5. 5. 18:28
부모(super class)로 동작하는 곳에서 자식(sub class)를 넣어주어도 대체가 가능해야 한다는 원칙.
자식 클래스를 구현할 때, 기본적으로 부모클래스의 기능이나 능력들을 물려받는다. 여기서 자식클래스는 동작을 할 때, 부모 클래스의 기능들을 제한하면 안된다는 뜻.

부모클래스의 타입에 자식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넣어도 똑같이 동작하여야 한다.

 

나쁜 예.

class Rectangle {
    var width: Float = 0
    var height: Float = 0
    
    var area: Float{
        return width * height
    }
}

class Square: Rectangle {
    override var width: Float{
        didSet{
            height = width
        }
    }
}

func printArea(of rectangle: Rectangle){
    rectangle.height = 3
    rectangle.width = 6
    print(rectangle.area)
}

let rectangle = Rectangle()
printArea(of: rectangle)

let square = Square()
printArea(of: square)

실제로 정사각형은 직사각형이라고 할 수 있다. 이 원리에 따라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설계하게 되면 문제가 생기게 된다.

 

바로 정사각형의 넓이를 출력해야할 때 height = width라는 구문으로 인해 printArea(_: Rectangle)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게 된다.

 

즉 부모(super, Rectangle)의 역할을 자식(sub, square)에서 대신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.

 

좋은 예

protocol Shape {
    var area: Float { get }
}

class Rectangle: Shape{
    let width: Float
    let height: Float
    
    var area: Float{
        return width * height
    }
    
    init(width: Float,
         height: Float){
        self.width = width
        self.height = height
    }
}

class Square: Shape{
    let length: Float
    
    var area: Float{
        return length * length
    }
    
    init(length: Float) {
        self.length = length
    }
}

이런 방법으로 Rectangle, Square모두 Shape이라는 protocol을 채택할 수 있게 설계하고 실제 구현부는 채택하는 하위 클래스로 넘기면 LSP의 원칙에 어긋나지 않는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다.

 

즉 Shape의 역할을 Square, Rectangle모두가 기존의 룰을 위반하지 않고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만들어지게 된다. 이런 상황을 LSP를 지킨 설계라고 하게된다.

저작자표시 비영리 동일조건 (새창열림)
    'Clean Architectu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Clean Architecture] SOLID원칙 06. 의존성 주입과 의존성 역전원칙(DI, DIP)
    • [Clean Architecture] SOLID원칙 05. ISP(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)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
    • [Clean Architecture] SOLID원칙 03. OCP(Open-Closed Principle) - 개방 폐쇄 원칙
    • [Clean Architecture] SOLID원칙 02. SRP(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) 단일 책임 원칙
    clamp
    clamp
    주니어 iOS개발자의 발악!!!!!!!

    티스토리툴바